캐나다 회사에서 일하기
-
[인터뷰 팁] 인턴에게 적합한 레쥬메 샘플캐나다 회사에서 일하기 2021. 1. 23. 09:59
인턴에게 맞는 레쥬메 샘플입니다. 인턴 이력서는 순서가 좀 다른데 경력자의 이력서와 어떻게 다를까요? 경력자와 다르게 인턴들은 회사 경험이 별로 없기에 학교와 전공을 보통 상단에 많이 씁니다. 성적이 좋은 경우 성적까지 기입하지만, 성적이 내세울 정도는 아니라면 굳이 쓰지 않아도 됩니다. 그러나, 경력자는 좀더 다른 순서로 배치 해야 됩니다. 보통 사람의 눈이 경력에 가장 많이 가고, 그다음 기술 스택이므로, 경력자와 인턴 레쥬메는 확실히 차이가 있습니다. 해외 IT 기업에 지원할 때, 튀는 레쥬메가 도움이 될까요? 가끔 보면 너무 화려한 레쥬메가 있는데, 인턴에게 있어서 너무 강한 색감이나 특이한 레이아웃은 좀 당황스러울 수 있습니다. 디자인직군이나 마케팅이나 서비스직에 근접할 때 이력서에 포인트를 주..
-
IT 인턴 인터뷰 - 인터뷰어도 준비를 한다.캐나다 회사에서 일하기 2021. 1. 20. 06:43
아마존 인턴 인터뷰 - 인터뷰어도 준비를 한다. 저는 인턴을 해본 경험이 없고, 대신 인턴에게 일을 주거나 도와준 적만 있습니다. 또 인턴을 뽑기위한 인터뷰 경험이 있어서 혹시 인턴을 준비하시는 분들이 계실까 하여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인턴 채용 프로세스 캐나다를 기준으로 보면 인턴은 해외에서 데리고 오는 일이 없습니다. 인턴은 보통 현지 대학에서 뽑게 됩니다. 인턴을 뽑는 프로세스는 회사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이력서 검토 -> 백그라운드 체크 -> 온라인 코딩 테스트 -> 인터뷰 -> 인턴 오퍼 -> 팀매칭 -> 온보딩으로 보통 비슷할 것 같습니다. 저도 이번에 알게 된 것은 온라인 코딩 결과가 밴드 3가지로 나뉩니다. 상 중 하 밴드가 나오게 되고, 하 밴드는 탈락입니다. 상에 해당하는 밴드는 인터..